CONTENTS
- 1. 유산상속전문변호사 찾아오신 의뢰인
- 2. 유산상속전문변호사, 부당이득금반환청구소송 조력
- - 유산상속전문변호사, 장례비용 지급의무 있음을 주장
- - 유산상속전문변호사, 피고의 상속 결격 사유 주장
- 3. 유산상속전문변호사 조력 결과, 망인의 재산 일부 반환 성공
1. 유산상속전문변호사 찾아오신 의뢰인

유산상속전문변호사에게 도움을 요청하신 의뢰인의 사연입니다.
의뢰인은 망인의 이모로, 평생 망인을 친자식처럼 아끼며 실질적인 보호자 역할을 해왔습니다.
망인의 친모는 망인을 낳다가 세상을 떠났고, 친부는 의뢰인에게 망인을 떠넘기고 30년이 넘는 시간동안 연락두절인 상황이었습니다.
그러나 망인이 갑작스러운 사고로 세상을 떠난 후, 망인을 키운 적도 없고 심지어 얼굴조차 본 적 없는 친부가 상속인 자격으로 망인의 전 재산을 요구하였습니다.
망인이 성장하는 동안 아무런 책임도 다하지 않았던 친부가 오히려 망인의 재산을 상속받게 된다는 사실에 의뢰인은 큰 충격을 받았습니다.
의뢰인은 이와 같은 상황이 상식적으로도, 법적으로도 부당하다고 느껴 법무법인 대륜의 변호사를 찾아 조언을 구하였습니다.
대륜 유산상속전문변호사는 직계존속이라 하더라도 자녀에 대한 양육 책임을 회피하거나 자녀의 복리에 심각한 해악을 끼친 경우 상속 자격이 제한될 수 있다는 점을 강조하며, 상속 재산 일부 반환을 위한 조력에 나섰습니다.
유산 상속 순위 정리
사망 후 상속은 민법 제1000조에서 규정하는 상속 순위에 따라 결정됩니다.
1순위: 직계비속(자녀, 손자녀 등): 자녀가 최우선 상속권자입니다. 자녀가 없는 경우에는 손자녀로 넘어갑니다.
2순위: 직계존속(부모, 조부모 등): 자녀가 없으면 부모나 조부모가 상속권을 가지게 됩니다.
3순위: 형제자매: 직게비속과 직계존속이 모두 없으면 형제자매가 상속권자가 됩니다.
4순위: 4촌 이내의 방계혈족(삼촌, 고모, 이모 등): 1,2,3 순위가 없는 경우 상속인이 됨
민법에 기준하면, 피상속인이 미혼이며 자녀가 없는 경우 상속 1순위인 직계비속이 존재하지 않아, 상속 2순위인 직계존속, 즉 부모가 상속인이 되게 됩니다.
부모가 이혼한 경우라도 자녀와의 혈족 관계에는 영향이 없으므로 이혼한 부모 모두 생존해 있다면 양쪽 모두 상속인에 해당합니다.
2. 유산상속전문변호사, 부당이득금반환청구소송 조력
유산상속전문변호사는 친부로부터 상속회복청구를 위한 부당이득금반환소송 준비에 나섰습니다.
🔗부당이득금반환청구소송은 법률상의 원인 없이 타인의 재산이나 노무를 이용해 이익을 얻은 자에게 이익을 돌려달라고 법적으로 청구하는 소송입니다.
의뢰인은 상속권자인 피고가 있음에도 불구하고 망인의 장례비용 등을 전부 부담했습니다.
담당 변호사는 피고가 장례비용 등을 대신 지급한 의뢰인에게 해당 비용을 반환할 의무가 있다고 강조했습니다.
유산상속전문변호사, 장례비용 지급의무 있음을 주장
유산상속전문변호사는 사회통념에 비추어 합리적인 범위 내의 장례식장 사용료, 화장시설 사용료, 봉안시설 사용료 등은 장례비용으로 보아야 하고, 또 장례비용은 그 성질상 공동상속인들이 그 법정상속분의 비율로 공동부담해야 할 것이므로 상속재산에서 공제되어야 한다고 주장했습니다.
담당 변호사는 망인의 재산을 단독으로 상속받은 피고에게, 장례비용 등 상속비용은 공제되어야 한다고 주장하며, 상속비용은 유일한 상속인인 피고가 부담해야 한다고 지적했습니다.
유산상속전문변호사는 위 상속함이 부당함을 제쳐두고, 피고는 적어도 망인의 상속비용을 부담할 의무가 있으므로, 피고는 장례비용 등을 대신 지급한 원고에게 해당 비용을 반환할 의무가 있다고 강조했습니다.
민법 제998조의2에 따라 상속에 관한 비용은 상속재산 중에서 지급하며, 상속에 관한 비용이라 함은 상속재산의 관리 및 청산에 필요한 비용을 의미한다. 장례비용 또한 피상속인이나 상속인의 사회적 지위와 그 지역의 풍속 등에 비추어 합리적인 금액 범위 내라면 이를 상속비용으로 보아야 한다.
유산상속전문변호사, 피고의 상속 결격 사유 주장
유산상속전문변호사는 피고의 상속 결격 사유에 대해 주장했습니다.
의뢰인 측 변호사는 상속결격자의 상속권 제한에 따라 피고가 상속 자격을 갖추지 못했다고 주장했습니다.
2024년 8월 28일, 양육 의무를 다하지 않은 부모의 상속권을 제한하는 이른바 구하라법이 국회 본회의를 통과했으며, 이 법은 2026년부터 시행될 예정입니다.
또한, 헌법재판소가 2024년 4월 25일 유류분 제도에 대해 헌법불합치 판결을 내린 이후 발생한 사건에도 구하라법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해당 법안은 부모가 자녀에 대한 양육 의무를 다하지 않은 경우, 상속권을 제한할 수 있도록 규정한 법률로, 자녀를 유기하거나 학대해 돌봄의 책임을 이행하지 않은 부모는 상속권을 상실하게 됩니다.
기존에는 가족 간 의무를 저버린 행위만으로 상속권을 박탈할 법적 근거가 부족했으나, 개정된 법률은 상속 판단 기준에 혈연뿐만 아니라 양육과 책임 이행 여부를 포함하도록 했습니다.
의뢰인 측 변호사는 피고가 생전에 망인의 아빠로서 돌봄의 의무를 전혀 다하지 않았다는 점을 들어, 피고가 망인의 재산을 상속받을 자격이 없음을 강조했습니다.
3. 유산상속전문변호사 조력 결과, 망인의 재산 일부 반환 성공
유산상속전문변호사의 조력 결과 의뢰인은 장례비용 포함 망인의 재산 일부 반환에 성공하셨습니다.
위 상황과 같이 상속과 관련해 부당이득금반환청구 소송이 일어나는 다양한 사례가 존재합니다.
구체적으로 상속 재산의 부당 분배, 유류분 침해, 상속 재산의 숨김 또는 횡령, 상속 포기 및 한정승인 과정 위반 등으로 부당이득금반환청구 소송이 일어납니다.
상속과 부당이득은 민법, 상속법 등 여러 법적 요소가 얽혀 있기 때문에 전문 지식을 갖춘 변호사의 도움이 무엇보다 중요합니다.
법무법인 대륜은 🔗상속·가사전문변호사 및 회계사, 세무사 등 3~20인 전문가 TF가 상속 분쟁 체계적인 대응에 나서고 있습니다.
위와 같이 유산상속으로 법률 도움이 필요하시다면, 법무법인 대륜에서 🔗가사∙상속변호사 추천을 받아보시길 바랍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