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NTENTS
- 1. 상속재산분할청구소송 | 상속재산분할이란
- - 상속재산분할청구소송 | 대상
- - 상속재산분할청구소송 | 시효
- 2. 상속재산분할청구소송 | 제기 전
- - 상속재산분할청구소송 | 지정분할
- - 상속재산분할청구소송 | 협의분할
- 3. 상속재산분할청구소송 | 서류
- - 상속재산분할청구소송 | 절차
- - 상속재산분할청구소송 | 공식
- 4. 상속재산분할청구소송 | 전문변호사 조력
1. 상속재산분할청구소송 | 상속재산분할이란
상속재산분할청구소송은 상속 재산에 대해 분쟁이 있는 경우 상속재산분할을 청구하는 소송을 말합니다.
보통 부모님이 사망한 경우 그 자녀들 사이에서 부모님의 재산을 어떻게 분배할 것인지에 대해 의견을 나누게 되는데요, 이것이 상속재산분할입니다.
사망한 부모님은 피상속인, 그 피상속인의 재산을 상속받게 되는 자녀, 배우자 등이 상속인이 됩니다.
이 상속인들을 모두 묶어 공동상속인이라고 부르며 상속재산분할에 대해 협의를 하려면 반드시 공동상속인들 전원이 참여해야 합니다.
공동상속인들이 상속재산분할 청구에 대해 협의가 이뤄지지 않는 경우 가정법원에 상속재산분할을 청구하게 되는 것입니다.
가정법원은 상속재산에 관해 구체적인 분할 비율 및 분할 방법을 정해주게 됩니다.
상속재산분할은 상속이 개시된 때로 소급해 그 효력이 발생하는데요, 쉽게 말해 상속 개시 당시 재산이 상속인의 단독 소유로 취급된다는 것입니다.
상속재산분할청구소송 | 대상
상속재산분할을 청구할 수 있는 사람으로는 상속인, 포괄수유자, 공동상속인의 상속인, 상속분의 양수인 등이 있습니다.
상속재산분할 청구 대상은 상속으로 인해 상속인에게 이전된 모든 상속재산입니다.
하지만 금전채권 및 금전채무 등 상속재산에 해당하나 상속개시와 동시에 공동상속인에게 분할돼 승계되는 가분채권, 가분채무는 상속재산분할 대상이 되지 않습니다.
여기서 가분채권이란 채권이 다수의 채권자에게 나눠 변제할 수 있는 채권을 말하며 가분채무란 다수의 채무자에게 일정 부분만큼의 이행을 청구할 수 있는 채무를 말합니다.
상속재산분할청구소송 | 시효

상속재산분할청구소송은 유류분반환청구소송과 다르게 시효가 정해져있지 않습니다.
상속재산이 분할되기 전까지는 공동상속인들의 공유로 남아있기에 피상속인이 사망한 후 몇 년이 흘렀더라도 상속재산분할이 필요하다면 언제든지 청구할 수 있습니다.
2. 상속재산분할청구소송 | 제기 전
상속재산분할청구소송을 제기하기 전에 상속재산을 분할할 수 있는 방법들도 있습니다.
상속재산분할청구소송 | 지정분할
지정분할이란 피상속인이 유언 등으로 상속재산의 분할 방법을 정해뒀거나 상속인 이외의 사람에게 분할 방법을 정할 것을 위탁한 경우 그에 따라 분할이 행해집니다.
🔗유언장효력 알아보기
지정분할을 하는 경우 대금분할, 현물분할, 가격분할 중 하나의 방법을 택하게 됩니다.
대금분할은 상속재산을 현물로 바꿔 그 가액을 상속인 사이에서 나누는 것이고, 현물분할은 개개의 재산을 있는 그대로 상속인 사이에서 나누는 것이며, 가격분할은 상속인 중 한 사람이
다른 사람의 지분을 매수해 그 가액을 지급하고 그 사람이 상속재산의 단독 소유자가 되는 것입니다.
상속재산분할청구소송 | 협의분할
협의분할이랑 피상속인의 유언이 없는 경우 공동상속인이 협의로 그 상속재산을 분할하는 것을 말합니다.
협의분할은 특별한 방식을 따르지는 않으며 공동상속인 전원의 합의가 있으면 됩니다.
협의분할은 엄연한 계약의 일종이기에 분쟁을 막기 위해서는 협의분할서를 작성해두는 것이 좋으며, 본 법인 전문변호사는 협의분할 대행 및 협의분할서 작성에 능통합니다.
🔗상속재산분할협의서 양식 다운로드
상속재산분할청구소송을 제기하지 않고 협의분할을 하는 것이 시간, 비용 등을 절약할 수 있기에 소송 제기 전 협의분할에 이르는 것이 좋습니다.
상속전문변호사는 관련 법률 전문가와 TF를 꾸려 협의분할 대행에 나서고 있습니다.
상속재산 분할에 대한 협의에 전문변호사의 도움이 필요한 경우 언제든지 상담을 요청해주시기 바랍니다.
3. 상속재산분할청구소송 | 서류
협의분할에 이르지 못한 경우 가정법원에 상속재산의 심판분할을 청구하게 되는데, 그를 편의상 상속재산분할청구소송이라고 부릅니다.
상속재산분할청구소송을 제기하려면 아래 서류를 상속재산분할심판청구서에 첨부해야 합니다.
2. 피상속인의 가족관계증명서(상세) 및 기본증명서 (상세)
3. 피상속인의 말소자초본
4. 청구인들의 가족관계증명서 및 주민등록초본
5. 부동산 등기사항전부증명서, 토지대장, 건축물 대장 등
6. 피상속인의 금융재산에 대한 잔고 확인서
7. 자동차등록증 등의 상속재산 분할 대상 재산을 특정할 수 있는 서류 등
상속재산분할청구소송 | 절차
상속재산분할청구소송은 아래 순서에 따라 진행됩니다.
1. 상속재산분할을 청구하기 위한 서류가 모두 준비됐다면 가정법원에 상속재산분할심판청구서를 접수하게 되는데요, 이 때 소송물가액의 약 0.5%에 해당하는 금액을 소송인지대로 납부해야 합니다.
또, 평균 당사자 1인당 12회분에 해당하는 송달료를 납부해야 하는데 이 송달료는 법원에서 서류를 소송 당사자들에게 송달하는데 소요됩니다.
2. 가정법원은 서류를 확인해 소송 상대방들에게 상속재산분할심판청구서 부본을 송달하며, 상대방들은 그 부본을 송달받은 날로부터 30일 이내에 답변서를 제출합니다.
3. 소송 상대방들이 답변서를 제출했다면 이후 가정법원이 정하는 심문기일에 심문이 진행되며, 확실한 변론을 해야 유리한 결과를 얻을 수 있기에 반드시 🔗가사·상속변호사 추천을 받아 조력을 구하시는 것이 좋습니다.
4. 평균적으로 심문기일은 4주~6주 간격으로 3~5차례 거치게 되며 재판부는 심판 결정을 내리고 심판 결정문을 송달합니다.
5. 만일 가정법원의 1심 결정문에 이의가 있다면 결정문을 받은 날로부터 2주 내에 항고를 제기할 수 있으며, 항고 결정문에도 이의가 있다면 2주 내에 대법원에 재항고해 마지막 결정을 받을 수 있습니다.
상속재산분할청구소송은 여러명의 공동상속인들의 의견 대립으로 인해 평균적으로 1년 이상의 기간이 소요되므로 많은 시간과 비용이 소모됩니다.
상속전문변호사의 도움을 받으면 일상을 지키며 효율적으로 원하는 결과를 얻으실 수 있기에 조력을 구하시는 것을 추천 드립니다.
상속재산분할청구소송 | 공식
상속재산분할청구소송에서 가정법원이 상속재산을 분할할 때 각 상속인이 받게 될 가액을 산출하는 공식은 위와 같습니다.
상속재산분할을 통해 법정상속분을 알아보고 싶다면 본 법인에서 마련한 🔗상속재산계산기를 이용해보시면 됩니다.
4. 상속재산분할청구소송 | 전문변호사 조력

상속재산분할은 사전에 상속재산을 확실히 파악하고 상속분에 대한 완벽한 이해가 필요하기에 개인이 진행하기에는 어려움이 따릅니다.
대륜 전문변호사는 상속재산분할청구소송 준비단계부터 재판 종결까지 동행합니다.
가사재판부 판사 경력을 가진 전문변호사를 비롯해 필요한 경우 세무사, 회계사 등의 법률 전문가와 협업을 통해 원스톱 법률 서비스를 제공하며 의뢰인이 원하는 결과를 이끌어냅니다.
상속전문변호사의 도움이 필요한 상황이라면 지금 바로 🔗가사·상속변호사 법률상담예약을 진행하시기 바랍니다.